심뇌혈관센터 시술 건수 1000건을 돌파하였습니다. 급성심근경색증, 협심증등 심혈관질환 치료의 핵심은 시간입니다.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시술하는 것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혈관 질환 및 증상
심근 허혈이란?
심장에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가슴 통증, 답답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허혈성 심장 질환이란?
관동맥 질환이라고도 하며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동맥이라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생기는 협심증, 심근경색 등의 질환을 말합니다.
서맥성 부정맥이란?
심장은 2개의 심방(우심방,좌심방) 2개의 심실(우심실,좌심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의 동방결절에서 연속적인 전기 자극에 의하여 방실 결절을 지나 심실에 도달하며 분당 60~100회 정도로 심장 박동이 발생합니다. 동방 결절에서 전기 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동기능부전 증후군),전도계를 통하여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하는 경우(방실 차단) 심장은 느리게 뛰며 이러한 부정맥을 서맥성 부정맥이라 하며 현기증, 호흡곤란, 피로, 실신, 의식 변화, 급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말초혈관 질환이란?
주로 혈관으로 따라 동맥경화반이 생겨 유발 되는 것으로 혈관의 단면이 좁아져 흐르는 혈액의 양이 줄게 되는 질환이며 죽상경화증라고 합니다. 흔한 증상은 간헐적인 다리 저림과 통증이며 이는 운동시 악화되고 휴식 시 소실됩니다.
치료 및 진단 방법
기본적인 진단방법으로 상/하지의 혈압차이를 비교하는 동맥경화 측정검사, 초음파, CT, MRI, 혈관 조영술 등이 있습니다.
혈관내 심초음파
관동맥 조영술 후 혈관 내부의 동맥경화의 형태를 파악하여 병변에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동맥 조영술 및 중재시술
관동맥 질환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것으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시술입니다. 환자의 관동맥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이 좁아진다거나 막힌부위를 찾아내어 풍선과 스텐트를 이용하여 확장시켜줍니다.
말초혈관 조영술 및 경피적 혈관 성형술
말초혈관 질환이 심각하게 지속적으로 증상이 있거나 휴식시에도 하지의 통증이 있을 경우 혈관성형술을 시행합니다. 혈관 성형술은 수술적인 방법과 비수술적인 방법이 있으며 비수술적인 방법이 경피적 혈관 성형술입니다. 이 방법은 말초 혈관 조영술 후 좁아진 혈관에 풍선을 부풀려 혈관을 넓히거나 스텐트라는 금속 삽입물을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인공심장박동기
서맥성 부정맥 환자에게 시술하여 심박동이 정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구입니다.
주로 왼쪽 흉벽에 국소마취를 싱행하고 피하에 작은 주머니를 만든 후 전극도자를 쇄골 밑에 정맥을 통해 심장내에 위치시키고 발전기를 피하 주머니에 위치시킵니다. 심박동기 삽입술은 높은 시술 성공률을 보이며 장기간 심장 맥박을 적절히 유지 할 수 있도록 합니다.